Groundwork for Ontological Debates: Conventionalist Approach (존재론적 논쟁의 기초 놓기: 규약주의적 접근)
English Abstract
One of the most fundamental tasks for philosophers is to comprehend the nature of human activities. Philosophers of language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linguistic life, while philosophers of science and epistemologists examine the principles that underpin human scientific and epistemic life. Ethicists, philosophers of art, and philosophers of religion explore the foundations and norms that govern practical, creative, and religious dimensions of human life. Just as the exploration of reality beyond human life is an important philosophical endeavor, the study of human life itself has equal significance.
Yet, such activity is itself a human one. The fact that philosophizing constitutes a part of human life implies that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philosophical activity is also the philosopher’s duty. Given that philosophical activity often manifests in the. form of debates concerning various problems, we are thus prompt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philosophical debates. This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 What is the nature of philosophical debates? The present study represents a partial response to this question.
Specifically, I aim to address a question that is often overlooked by philosophers: What is the logical structure of ontological debates?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logic underlying ontology-talks. For this purpose, I focus on the logical structure of essential expressions for ontological debates—that is, their logical syntax and semantics. This investigation is significant not only as an exploration of a philosophical task which is not explored, but also as a meta-philosophical undertaking that critically reflects on philosophical activity itself.
In Chapter 2, I develop a theory of $\mathcal{H}^{S\times O}$, a formal language for ontology-describing expressions, which. includes counterontological conditionals and ontology-quoting sentences. I argue that a language capable of accommodating ontology-describing expressions must incorporate impossible worlds within its logical space and adopt a two-dimensional structure partitioned along the axes of metaphysical possibilities and ontologies. After defining $\mathcal{H}^{S\times O}$ within this framework, I outline a translation procedure for ontology-describing expressions into $\mathcal{H}^{S\times O}$-sentence forms. I further demonstrate that this translation procedure preserves the logical and semantic properties of the original expressions.
Chapter 3 shifts focus to ontology-evaluating expressions. I first analyze their logical properties and subsequently extend $\mathcal{H}^{S\times O}$ to include these expressions, introducing a set of pure axioms to characterize their formal features. To illustrat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ontological evaluative expressions in actual ontological debates, I introduce and justify three impure axioms and employ them to construct model cases for resolving ontological debates.
In Chapter 4, I propose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dimension of the logical space articulated in $\mathcal{H}^{S\times O}$. Here, I advocate a conventionalist approach, arguing that this second dimension represents alternative conventions governing the term “exist.” To justify my approach, first, I critically evaluate three alternative interpretations, demonstrating their limitations. I then argue that to introduce a conventional dimension into the logical space is both natural and necessary. Finally, I provide examples that suggest the view that discourse on ontology can be viewed as discourse concerning the linguistic conventions associated with the term “exist.”
The present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logical properties of essential expressions that constitute ontological debates and to theorize these properties through a robust framework of logical syntax and semantic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ontological alternatives in question are not merely contradictory situations, epistemically possible scenarios, or fiction. Rather, they represent alternative world-descriptions grounded in alternative linguistic conventions. If successful,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broader and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human activity of engaging in ontological debate.
국문 초록
철학자들에게 주어진 과업 중 하나는 인간적 활동의 본성을 파악하는 일이다. 언어철학자들은 인간의 언어적 삶이 어떠한 구조를 가지며,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파악한다. 과학철학자들, 그리고 인식론자들은 인간의 과학적, 나아가 인식적 삶에서 작동하며, 이에 적용되어야 하는 원리들을 고찰한다. 윤리학자들, 예술철학자들, 종교철학자들은 인간의 실천적, 창조적, 종교적 삶의 기반 및 이와 유관한 규범에 관해 탐구한다. 인간적 삶 너머의 실재를 탐구하는 것만큼, 인간적 삶 자체를 탐구하는 것은 철학자들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 활동은 그 자체로 하나의 인간적 활동이다. 철학함이 인간적 삶의 일부라는 사실은, 그 활동의 본성에 관한 탐구가 역시나 철학자의 몫으로 주어져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철학적 활동의 일반적 형태가 문제에 관한 논쟁임을 고려한다면, 우리는 ‘철학적 논쟁’의 본성에 관한 탐구를 할 요구를 받고 있는 것이다. 즉, 우리에게 주어지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철학적 논쟁의 본성이란 무엇인가? 본고는 이에 대한 부분적 응답의 결과이다.
특히, 나는 철학자들에게 종종 간과되곤 하는 질문인, ‘존재론적 논쟁의 논리적 구조란 어떠한 것인가?‘에 답하고자 시도한다. 즉, 나는 존재론 담화를 위한 철학적 논리학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존재론적 논쟁을 위한 필수적 표현들의 논리적 구조가 어떠한 것인지에 천착한다. 즉, 본고의 중심 논의는 논리적 구문론과 의미론이 어떠한 식으로 주어져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는 아직 본격적으로 수행된 바 없는 철학적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철학적 활동을 성찰하는, 일종의 메타 철학적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미 있다.
제2장에서 나는 ‘반존재론적 조건문’과 ‘존재론 인용문’으로 구성되는 ‘존재론 기술 표현’들을 위한 형식 언어 $\mathcal{H}^{S\times O}$를 이론화한다. 논증되기로, 존재론 기술 표현들을 다룰 수 있는 언어는 불가능세계들을 그 논리적 공간에 포함해야 하며, 이 논리적 공간은 형이상학적 가능성과 존재론 각각에 상대적으로 분할될 수 있는, 이차원 공간이어야 한다. 나는 이러한 논리적 공간을 갖는 언어 $\mathcal{H}^{S\times O}$를 정의한 뒤 존재론 기술 표현들을 $\mathcal{H}^{S\times O}$-문장꼴로 번역하는 절차를 논하고, 이 번역 절차가 존재론 기술 표현들의 논리적, 의미론적 특성을 보존함을 확인한다.
제3장은 ‘존재론 평가 표현’들에 관해 논한다. 나는 먼저 존재론 평가 표현들의 논리적 특성을 고찰한 뒤, 이들을 우리의 형식 체계에서 정의하기 위해 $\mathcal{H}^{S\times O}$를 확장한 뒤 이들에 관한 ‘순수 공리’를 정의한다. 이어서, 존재론 평가 표현들이 실제 존재론적 논쟁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보이기 위해 세 가지 ‘비순수 공리’들을 도입 및 정당화한 뒤 이를 사용해 존재론적 논쟁을 해결하는 모형 사례들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mathcal{H}^{S\times O}$의 논리적 공간을 구성하는 두번째 차원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여기에서 나는, 이 두번째 차원은 “존재한다"에 관한 서로 다른 규약들을 표상한다는, 이른바 ‘규약주의적 접근’을 취한다. 규약주의적 접근을 정당화하기 위해, 나는 먼저 대안적인 세 가지 접근을 소개한 뒤 이들의 실패를 보이고, 규약적 차원이 우리의 논리적 공간에 포함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임을 논증한 뒤, 존재론에 관한 우리의 담화가 “존재한다"의 사용 규칙에 관한 담화로 간주될 수 있는 사례들을 제시한다.
본고의 논의는 존재론적 논쟁을 구성하는 필수적 표현들이 어떤 논리적 특성을 가지며, 이를 어떤 논리적 구문론과 의미론으로써 이론화할 수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또한, 이는 존재론적 논쟁의 대상이 되는, 존재론적 대안들이란 모순된 상황도, 인식적으로 가능한 상황도, 모종의 허구도 아니며, 이들은 대안적인 언어적 규칙을 통해 이루어진 세계 기술들임을 보일 것이다. 본고의 논의가 성공적이라면, 우리는 하나의 인간적 활동인, 존재론적 논쟁에 관한 보다 넓고 깊은 이해를 얻는 데에 성공할 것이다.